성선설과 성악설 그 본성론에 대한 고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2 05:08
본문
Download : 성선설과 성악설 그 본성론에 대한 고찰.hwp
설명
들어가며…
본 마당
1. 성선설
2. 성악설의 槪念
성선론과 성악론
다른 본성론들
1. 혼재설
2. 백지설
3. 성무선악설
4. 성삼품설
conclusion(결론) (나의 관점에서 보는 인간의 본성론)
묵자 또한 이러한 비슷한 맥락을 취했는데 묵자는 약자의 입장에 서서 `왜 강자는 힘으로 약자를 겁탈하는가`를 묻는다.또한 한비자의 철학에서 보면 인간의 욕망에는 식욕과 성욕같이 생리적인 것이 있고, 권력욕이나 소유욕, 명예욕같이 사회적인 것이 있따 고자나 순자는 타고난 인간의 본성을 `음식 남녀`의 동물적 욕망으로 보는 반면 한비자의 성악설은 권력욕, 소유욕 같은 사회적 욕망에서 출발한다. 그것이 바로 겸애(겸애)이다. 중세의 교부철학자 아우구스티누수(Augustine) 이래의 론자들은 모두 인간의 본성이 악하다는 관점을 가지고 있었다. 현실이란 힘으로 움직인다.2[1][1] , 성선설과 성악설 그 본성론에 대한 고찰생활전문레포트 ,
성선설과 성악설을 비교하고, 인간의 본성론에 대해 작성한 리포트입니다. 그러나 한비자가 설명(說明)하려는 것은 일반인들의 상식적인 삶이 아니라 나라를 통치해야 하는 최고 권력자의 일이다. 아니 더럽고 추악하기 때문에 사랑하라고 한다. 그런데 그 힘이 꼭 그렇게 겁탈하는 방향으로 움직여야 하는가. 반대로 그 힘으로 약자를 사랑할 수도 있지 않은가. 묵자는 아무런 조건을 달지 않는 사랑을 강자들에게 요구한다.
서양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재미있는 사실은 중국(China)의 성악설은 성선설 다음에 건립되었지만, 서양에서는 먼저 성악설이 생기고 난 뒤에 성선의 관점이 생겼다.
2[1][1]
순서
성선설과 성악설을 비교하고, 인간의 본성론에 대해 작성한 리포트입니다. 기독교는 인류의 시조 아담이 원죄를 지었기 때문에 사악한 길로 떨어졌고 그 후손들은 태어나면서 악한 경향을 가지고 나온다고 주장하였다. 그후 이탈리아의 마키아벨리(N.Machiaveli : 1447∼1527)와 영국의 홉스(J. Hobbes : 1588∼1679)와 독일의 쇼펜하우어(shopenhauer : 1788∼1860)는 모두 인간의 본성이 악…(省略)
Download : 성선설과 성악설 그 본성론에 대한 고찰.hwp( 32 )
성선설과 성악설 그 본성론에 대한 고찰





레포트/생활전문
,생활전문,레포트
다. 따라서 한비자가 설명(說明)하는 인간의 본성은 소름 끼칠 정도로 사악하고, 그가 제시한 극단적인 인간 통제 방법, 즉 정치론은 섬뜩하리 만큼 억압적이고 전제적이다. 그러므로 인간의 본성은 근본적으로 악하다는 주장이 일찍부터 신조가 되어버려 이에 대해 의심하거나 논변을 벌일 여지도 없었다. 서양의 사악한 인성관은 사악한 세계관에 근본을 두었고 사악한 세계관은 종교의 影響(영향)에서 생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