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상의 이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8 18:33본문
Download : 불상의 이해.hwp
비로자나불을 모시는 전각(殿閣)은 대적광전(大寂光殿).대광명전(大光明殿).비로전(毘盧殿).화엄전(華嚴殿)이있다
비로자나불의 양협시 보살로서는 석가모니불의 좌, 우 보살과 같이 좌협시 보살인 문수보살과 우협시 보살인 보현보살이 조성된다
2. 아미타 여래
아미타란 이름은 산스크리트의 아미타유스(무한한 수명을 가진 것) 또는 아미타브하(무한한 광명을 가진 것)라는 말에서 온 것으로 한문으로 아미타(阿彌陀)라고 음역하였고, 무량수(無量壽) ·무량광(無量光) 등이라 의역하였다. 원시불교에서는 교주인 석가불만을 불타라 하지만 불교교리의 발전과 함께 많은 종류의 불이 예배되고 또 조상되었다.
,기타,레포트
불상의이해
레포트/기타
순서






본 data(자료)는 불상의 이해 리포트입니다. 산스크리트로 ꡐ태양ꡑ이라는 뜻인데, 불지(佛智)의 광대무변함을 상징하는 화엄종(華嚴宗)의 본존불(本尊佛)이다.
Download : 불상의 이해.hwp( 43 )
본 자료는 불상의 이해 리포트입니다. 또한 53불·천불·삼천불 등과 같은 다불과 사방불·오방불같은 방위불도 만들어졌다.불상의이해 , 불상의 이해기타레포트 ,
설명
불상의 이해
불상
불상의 종류
나한상
사천왕
불상의 자세
자세
불상의 형상
의복
보살상
불상
불타는 곧 여래라고도 하는데, 진리를 체득한 사람이라는 뜻이다. 무량겁해(無量劫海)에 공덕을 쌓아 정각(正覺)을 성취하고, 연화장(蓮華藏)세계에 살면서 대광명을 발하여 법계(法界)를 두루 비춘다고 한다. 법상종(法相宗)에서는 노사나불(盧舍那佛)·석가불(釋迦佛)·수용신(受用身)·change(변화)신(變化身)으로 쓰고, 비로자나불은 자성신(自性身)이라 하여 구별하고 있다아 또 천태종(天台宗)에서는 비로자나불·노사나불·석가불을 법신(法身)·보신(報身)·응신(應身)에 배치하여 설명(explanation)하고 있고, 밀교(密敎)에서는 《대일경(大日經)》의 설을 계승하여 대일여래(大日如來)와 동체라고 한다. 정토삼부경(淨土三部經)에서는, 아미타불은 과거에 법장(法藏)이라는 구도자(…(skip)
다. 사방불의 경우 동방 약사정토, 서방 아미타정토, 남방 석가정토, 북방 미륵정토가 통설로 되어 있다
불상의 종류
1. 비로자나여래
비로사나불(毘盧舍那佛) ·노자나불·자나불이라고도 한다. 그러나 어느 시대이건 실제로 신앙되고 즐겨 조상된 것은 석가불을 비롯하여 아미타불·비로자나불·약사불·미륵불등이다.